본문 바로가기
경제

부가가치세 과세대상 및 신고납부 기간 총정리📢

by 엠104 2025. 3. 19.
반응형

✅ 부가가치세란?

부가가치세(VAT, Value Added Tax)는 재화나 용역이 생산·유통되는 모든 단계에서 발생하는 세금으로, 최종 소비자가 부담하는 간접세입니다. 사업자는 세금을 소비자로부터 받아 국세청에 납부하는 역할을 합니다.

이 글에서는 부가가치세 과세대상과 신고·납부 기간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

🔎 부가가치세 과세대상

부가가치세법에 따르면 국내에서 사업을 하는 개인·법인은 대부분 부가가치세 납부 의무가 있습니다. 하지만 모든 거래가 과세대상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.

1️⃣ 과세대상 거래

다음과 같은 거래는 부가가치세 과세대상입니다.

✅ 1. 재화의 공급

  • 상품 판매, 제품 생산·제조
  • 부동산 매매(사업자가 하는 경우)
  • 중고 물품을 사고팔 때(사업자가 판매하는 경우)

✅ 2. 용역의 공급

  • 서비스 제공(예: 컨설팅, 광고, 배달 서비스)
  • 건설업, 교육 서비스(일부 면세 제외)
  • 프리랜서 용역 제공(디자인, 번역 등)

✅ 3. 재화의 수입

  • 해외 직구(특정 면세 대상 제외)
  • 해외에서 상품을 수입하여 국내에서 판매

2️⃣ 면세 대상 거래 (부가가치세 면제)

일부 거래는 부가가치세가 면제됩니다.

❌ 1. 필수 생필품 및 서비스

  • 쌀, 채소, 고기, 생선 등 농·축·수산물
  • 도서, 신문, 잡지 등 교육 관련 출판물
  • 의료 서비스(병원 치료, 의약품)

❌ 2. 사회복지 및 공익성 서비스

  • 보육, 유치원 교육
  • 장애인용 보조기구 판매
  • 국민연금, 건강보험 등

※ 면세사업자는 부가가치세를 신고·납부할 의무는 없지만, 매년 **'사업장 현황 신고'**를 해야 합니다.


📅 부가가치세 신고·납부 기간

부가가치세는 1년에 2번(또는 4번) 신고·납부해야 합니다.

1️⃣ 일반과세자 신고·납부 기간

📌 부가가치세 신고는 6개월 단위로 1년에 2번 진행됩니다.

구분 신고 기간 해당 기간
1기 확정 신고 7월 1일 ~ 7월 25일 1월 1일 ~ 6월 30일
2기 확정 신고 1월 1일 ~ 1월 25일 7월 1일 ~ 12월 31일

 

📌 예정 신고(1년 4번 신고하는 경우)
일반과세자는 **예정신고(반기마다 중간 신고)**를 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.
예정 신고 대상자는 1년에 4번 신고·납부해야 합니다.

구분 신고 기간 해당 기간
1기 예정 신고 4월 1일 ~ 4월 25일 1월 1일 ~ 3월 31일
2기 예정 신고 10월 1일 ~ 10월 25일 7월 1일 ~ 9월 30일

📢 예정 신고를 하지 않는 경우 국세청에서 전반기(1기) 또는 후반기(2기)의 매출을 기반으로 직권으로 예정부과할 수 있습니다.


2️⃣ 간이과세자 신고·납부 기간

간이과세자는 1년에 1번만 부가가치세를 신고합니다.

구분 신고 기간 해당 기간
간이과세자 신고 1월 1일 ~ 1월 25일 전년도 1월 1일 ~ 12월 31일

📌 간이과세자는 연매출 8,000만 원 이하의 소규모 사업자로, 예정 신고가 없습니다.
📌 다만, 연매출이 4,800만 원 이상인 경우 7월에 예정부과가 진행될 수 있습니다.


❓ 자주 묻는 질문 (Q&A)

1️⃣ 부가가치세 신고를 하지 않으면 어떻게 되나요?

부가가치세 신고를 하지 않으면 **가산세(최대 40%)**가 부과됩니다.

  • 무신고 가산세: 납부세액의 10~20%
  • 납부 지연 가산세: 하루 0.025%씩 증가
  • 과소 신고 가산세: 신고 금액이 적을 경우 10% 추가 부과

📌 늦게 신고하더라도 자진 신고하면 가산세를 줄일 수 있습니다!


2️⃣ 면세사업자는 부가가치세 신고를 안 해도 되나요?

네, 면세사업자는 부가가치세 신고 의무가 없습니다.
다만, **매년 2월 10일까지 '사업장 현황 신고'**를 해야 합니다.


3️⃣ 개인사업자와 법인의 신고 기간이 다른가요?

아니요, 개인사업자와 법인사업자 모두 동일한 신고·납부 기간을 따릅니다.


4️⃣ 신고를 잘못했을 때 수정할 수 있나요?

네, 신고 기한이 지난 후에도 경정청구를 통해 수정할 수 있습니다.

  • 1년 이내: 가산세 없이 수정 가능
  • 1~5년 이내: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음

🔖 마치며

부가가치세는 사업을 운영하는 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. 신고·납부 기한을 철저히 지키고, 면세 여부를 정확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💡 부가가치세 신고를 잊지 않도록 미리 일정 관리하세요! 🗓️

반응형